반응형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 신청기간 및 신청조건, 은행별 금리비교!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수령할 수 있는 적금상품.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청년 중 만 19세~34세(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제외)
청년도약계좌 가입 소득조건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속득 6,000만원 ~ 7,500만 원,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가입가능하나 정부 기여금지원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부여
급여기준 | 혜택 |
총급여기준 6,000만원 이하 | 정부기여금 지급 + 비과세 적용 |
총급여기준 6,000만원 ~ 7,500만원 이하 | 비과세 적용 |
청년도약계좌 자산형성 방법
본인 납입금 + 정부지원금 + 금융기관 이자 = 5,000만 원
-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 지원.
-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적용.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에 따른 지급한도 및 매칭비율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 기여금 지급한도(월)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월) |
2,400만원 이하 |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2.1만원 |
7,500만원 이하 | 없음. | 없음. | 없음. |
2023년 가구 중위소득표
구 분 | 100% | 180% |
1인 가구 | 2,077,892원 | 3,740,206원 |
2인 가구 | 3,456,155원 | 6,221,079원 |
3인 가구 | 4,434,816원 | 7,982,669원 |
4인 가구 | 5,400,964원 | 9,721,735원 |
5인 가구 | 6,330,688원 | 11,395,238원 |
6인 가구 | 7,227,981원 | 13,010,366원 |
청년도약계좌 금리
- 3년 고정 + 2년 변동
- 저소득층 청년(ex 2,400만 원 이하)은 우대금리 부여.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표
청년도약계좌 신청일 및 신청방법
가입 가능일 | 6.15(목) | 6.16(금) | 6.19(월) | 6.20(화0 | 6.21(수) | 6.22(목)~23(금) |
출생년도 끝자리 | 3, 8 | 4, 9 | 0, 5 | 1, 6 | 2, 7 | 모두 가능 |
- 신청방법 : 청년의 개인소득 + 가구 소득심사(2주~3주 이내)를 통해 최종심사 완료 후 어플로 친성.
- 가입은행 :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청년도약계좌의 장점 및 단점
장점 | 단점 |
사업조건에 충족된다면 목돈을 받을 수 있다. | 5년 이라는 가입기간이 길다. |
청년도약계좌 Q&A
Q. 비대면 가입 가능여부?
A : 별도 서류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 소득확인 등을 통해 가입 가능 합니다.
Q. 작년 소득확인이 어려운 경우 21년 소득으로 가입이 가능할까?
A : 22년 소득은 23년 7월~8월경 확정되므로, 그 이전까지는 21년도 소득을 활용하여 가입가능 합니다.
따라서 6월~7월에는 21년 소득이 없으면 가입 불가하므로, 22년부터 소득이 있다면 8월 이후로 가입신청 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은행으로 문의해 주세요.
Q. 기존 청년계좌 가입자 중복 개설 여부?
A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상품 이용자도 중복 가입 가능.
단,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 가입 불가이므로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또는 중도 해지 후 가입을 해야 합니다.
Q. 중도해지 가능 여부?
A : 중도해지 시 정부 기여금 + 비과세 혜택 모두 불가
단, 사망, 퇴직, 이민, 사업장 폐업 등을 비롯한 특별사유 시 제외.
Q. 가입 후엔 소득과 상관없이 계속 유지 + 지원되나요?
A :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 중장기 적금 상품으로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개인소득 확인을 통해 유지 심사를
시행합니다.
단, 가구원 변동(이혼, 독립, 사망 등)에 따라 가입자의 개인소득과 무관한 사유로 기여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을
프로 가구소득은 유지심사에서 제외됩니다.
Q. 가입기간 중 개인 소득이 늘어난다면?
A : 유지심사 결과 총 급여 기준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초과 시 다음 유지심사시점까지 정부기여금 지급이 중단
됩니다. 다음 유지심사에서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 재지급 합니다.
단, 비과세 혜택은 가입 시에 개인, 가구 소득요건을 충족하면 만기까지 유지됩니다.
Q.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연령 요건이 초과된다면?
A : 가입당시 연령조건만 해당되면 만기 시까지 계좌 유지 됩니다.
Q. 매월 무조건 70만원을 납입해야 하는지?
A : 청년도약계좌는 자유접립식 상품이므로 가입자는 최대 납입한도인 월 7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면 되십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728x90
반응형
'직장생활백서(Cheat k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환급일 및 환급금 조회 확인(feat.환급금 활용방법) (0) | 2023.06.16 |
---|---|
근로장려금 추가 혜택(feat.저금리 대출 상품) (0) | 2023.06.15 |
2023년 실업급여 총정리! (0) | 2023.06.10 |
23년 7월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 '디폴트옵션' 이란? (0) | 2023.06.09 |
2023년도 대체 공휴일 및 수당 계산 (0)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