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최저시급, 최저월급, 최저연봉은 얼마?
2024년 최저시급, 최저월급, 최저연봉은 얼마? 2024년 최저시급은? 2024년 최저시급은 9,860원으로 확정! 2024년 최저 시급 인상률은? 2023년 대비 2.5% 소폭상승. 최근 5년간 최저 임금과 전년 대비 인상률 2019년 8,350원(10.9%) 2020년 5,590원(2.87%) 2021년 8,720원(1.5%) 2022년 9,160원(5.05%) 2023년 9,620원(5.0%) 2024년 최저 월급은? 주 209시간 근무일 경우 2024년 최저월급은 2,060,740원. 2023년 최저월급 보단 50,160원 인상. 2024년 최저 연봉은? 주 209시간 근무일 경우 2024년 최저 연봉은 24,728,880원.
더보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총 정리!(기존 알뜰교통카드 정리비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총 정리!(기존 알뜰교통카드 정리비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대중교통 이용 시 이동해야 하는 거리(보행, 자전거 등)만큼 마일리지를 지급(공공재원)하고, 민간 카드사가 추가 할인(약 10%) .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적립 횟수 구분 적립횟수 기존 알뜰교통카드 44회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60회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적립금액 구분 적립금액 기존 알뜰교통카드 월 11,000원 ~ 48,000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월 15,000원 ~ 66,000원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카드 발급사 구분 발급카드사 기존 발급사(6개) 신한, 우리, 하나, 티머니, 로카모빌리티, DGB 신규 발급사(11개) 국민, 농협, 비씨(IBK기업, 케이뱅크, 광주은행, BC바로), 삼성, 현대 알뜰교통카드 추가 서비스 카..
더보기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완벽정리!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완벽정리!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란? 정부, 중소기업(제조업, 건설업) 사업주, 청년근로자(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가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금을 가입기간(3년)에 따라 장기재직한 청년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지원내용 청년, 기업, 정부가 함께 적립 -> 3년 근속시 1,800만원 자산형성.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적립구조 - 청년 : 3년간 600만원 적립(1년차 월 14만원 x 12개월, 2~3년차 월 18만원 x 24개월) (납입방식) 사전에 설정한 청년근로자 명의 시중은행 계좌에서 매월 정해진 날짜(5일, 15일, 25일 중 청년근로자 본인이 선택)에 자동이체. -..
더보기
종합소득세 환급일 및 환급금 조회 확인(feat.환급금 활용방법)
종합소득세 환급일 및 환급금 조회 확인(feat.환급금 활용방법) 종합소득세 환급일은 많은 사람들에게 기다리는 소중한 날입니다. 매년 정부에 납부한 세금 중에서 너무 많이 납부했다고 느낄 때, 환급일은 마치 작은 선물을 받는 듯한 기쁨을 안겨줍니다. 종합소득세란? 1년 동안 사업 활동을 통해 개인에게 귀속된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을 종합해 과세하는 세금으로 자진신고·납부해야 한다. 자영업자,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월급 이외의 소득이 발생한 직장인 등이 대상이다. 신고·납부 기간은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며, 신고·납부하지 않을 경우 각종 세액공제 및 감면을 받을 수 없고 가산세를 부담하게 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종합소득세 (시사상식사전, pmg..
더보기
근로장려금 추가 혜택(feat.저금리 대출 상품)
근로장려금 추가 혜택(feat.저금리 대출 상품) 1. 주거안정월세대출 - 대출대상 : (우대형) 취업준비생, 희망키움통장 가입자, 근로장려금 수급자, 사회초년생, 자녀장려금 수급자, 주거급여수급자 (일반형)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로, 우대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공 통) 부부합산 순자산가액 3.61어원 이하. - 대출금리 : (우대형) 연 1.0% (일반형 ) 연 1.5% - 대출한도 : 최대 960만원(월 40만원 이내) - 대출기간 : 2년(4회 연장, 최대 10년 이용가능) - 상환방식 : 10년 후 만기 일시 상환. ※ 추가 자세한 사항은 아래 홈페이지 에서 확인.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더보기